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상담 및 자료실

상담 및 자료실
자료실

직권면직의 정당성

작성자 : 노무법인 이인
작성일 : 2023-11-02 11:28:29
조회수 : 305

회사의 취업규칙 등에서 징계해고와는 별도로 직권면직의 규정을 둔 경우에 직권면직은 실질적으로 해고에 해당하므로 근로기준법 제23조 제1항에 따른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1. 직권면직의 사유

 

 

직권면직은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에 의한 근로관계의 종료이므로 해고에 해당하며, 직권면직은 고용관계를 유지할 수 없을 정도에 이르러야 합니다.

2. 직권면직의 절차

면직처분과 징계처분이 따로 규정되어 있으면서도 면직처분에 관하여는 일반의 징계처분과 달리 아무런 절차규정도 두고 있지 아니하고 그 면직사유가 동일하게 징계사유로 규정되어 있는 것도 아니라면, 사용자가 면직처분을 함에 있어 일반의 징계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참조판례 대법원 2000 .6 .23. 선고 99두4235 판결]

취업규칙 등에 면직처분과 징계처분이 따로 규정되어 있으면서도 면직처분에 관하여는 일반의 징계처분과 달리 아무런 절차규정도 두고 있지 아니하고 그 면직사유가 동일하게 징계사유로 규정되어 있는 것도 아니라면, 사용자가 면직처분을 함에 있어 일반의 징계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할 수 없고, 이는 면직사유가 실질적으로 징계사유로 보여지는 경우에도 달리 해석할 것은 아니다.


직권면직사유와 징계사유가 각각 규정되어 있으나 양자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인사규정상 징계절차를 준수하여야 합니다.


[참조판례 대법원 1995. 3. 24. 선고 94다42082 판ㄱㄹ]

사용자가 어떤 사유의 발생을 당연퇴직사유로 규정하고 그 절차를 통상의 해고나 징계해고와 달리 한 경우에 그 당연퇴직사유가 근로자의 사망이나 정년, 근로계약기간의 만료 등 근로관계의 자동소멸사유로 보여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에 따른 당연퇴직처분은 근로기준법 제27조 소정의 제한을 받는 해고라고 할 것이고, 따라서 당연퇴직처분이 유효하려면 근로기준법 제27조 제1항 소정의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는 것이므로, 단체협약 등에서 당연퇴직사유에 대하여 다른 징계해고에 관한 절차 등을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지 않다 하여 그것이 근로기준법상의 해고제한 규정을 회피하려는 것으로서 무효라고 할 수 없고, 이처럼 당연퇴직에 대하여 일반의 징계해고와 달리 아무런 절차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당연퇴직사유가 동일하게 징계사유로도 규정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당연퇴직처분을 함에 있어서 다른 일반의 징계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할 수 없으며, 이는 당연퇴직사유가 실질적으로 징계사유로 보여지는 경우에도 달리 해석할 것은 아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13 2024년 최저임금 노무법인 이인 2023-11-07
12 직권면직의 정당성 노무법인 이인 2023-11-02
11 노동조합 전임자의 업무복귀 노무법인 이인 2023-11-01
10 해고자 등이 기업별 노조에 가입할 수 있는지 노무법인 이인 2023-10-31
9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 (사회통념상 합리성 폐기) 노무법인 이인 2023-10-30
8 징계위원회 구성(노측위원 자격) 노무법인 이인 2023-10-27
7 구제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채 구제명령에 반하는 업무 지시를 거부한 행위로 징계를 할 수 있는지 노무법인 이인 2023-10-26
6 포괄임금약정의 성립여부 노무법인 이인 2023-10-25
5 정년 후 재고용 기대권의 인정요건 노무법인 이인 2023-10-24
4 임금공제의 방법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만으로 임금을 공제할 수 있을까?) 노무법인 이인 2023-10-20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