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상담 및 자료실

상담 및 자료실
자료실

직장 내 괴롭힘의 판단기준인 업무의 적정범위를 넘을 것의 의미

작성자 : 노무법인 이인
작성일 : 2024-04-25 09:46:15
조회수 : 1,236
직장 내 괴롭힘은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 • 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업무의 적정 범위를 넘는 행위가 있어야 합니다.

즉 행위자가 피해자에 비하여 우위성이 인정되더라도 문제된 행위가 업무관련성이 있는 상황에서 발생한 것이 필요합니다.

 

'직장 내 괴롭힘'에는 '폭행 상해 등의 신체적 공격행위'나 '폭언 협박 등의 정신적인 공격행위'와 같이 명백히 업무 범위를 벗어나는 행위뿐만 아니라

'업무상 명백히 불필요한 것이거나 수행 불가능한 것을 강제하는 행위', '업무상의 합리성이 없이 능력이나 경험에서 동떨어진 정도의 낮은 업무를 명령하는 행위' 등

외견상으로 업무 범위 내의 행위로 보이는 행위도 포함됩니다(대구지법 2022.06.15. 선고 2021나314644 판결).

다만, 여기에서 업무관련성은 '포괄적인 업무관련성'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직접적인 업무수행 중에서 발생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업무수행에 편승하여 이루어졌거나 업무수행을 빙자하여 발생한 경우 업무관련성을 인정할 수 있습니다.

 

문제된 행위가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는 것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① 그 해우이가 사회 통념에 비추어 볼 때 업무상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거나, 

② 업무상 필요성은 인정되더라도 그 행위 양태가 사회 통념에 비추어 볼 때 상당하지 않다고 인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업무상 지시, 주의•명령에 불만을 느끼는 경우라도 그 행위가 사회 통념상 업무상 필요성이 있다고 인정될 경우에는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하기는 곤란합니다.

다만, 지시, 주의•명령의 양태가 폭행이나 과도한 폭언을 수반하는 등 사회통념상 상당성을 결여하였다면,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또한, 업무상 필요가 인정되더라도 사업장 내 동종유사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에 비하여 합리적 이유 없는 문제 행위라면, 사회통념적으로 상당하지 않은 직장 내 괴롭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업무상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는 근로계약, 단체협약, 취업규칙 및 관계법령에서 정한 내용에 비추어 판단합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33 수습기간 중 해고 노무법인 이인 2024-05-23
32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 판단 기준 노무법인 이인 2024-04-30
31 일용직 근로자도 퇴직금지급대상이 되는지 노무법인 이인 2024-04-29
30 단시간근로자의 초과근로한도 노무법인 이인 2024-04-26
29 직장 내 괴롭힘의 판단기준인 업무의 적정범위를 넘을 것의 의미 노무법인 이인 2024-04-25
28 임금명세서 교부의무 노무법인 이인 2024-04-02
27 취업규칙 작성 및 신고의무 노무법인 이인 2024-03-21
26 연장근로한도 위반 해석 기준 노무법인 이인 2024-03-15
25 근무성적이나 근무능력이 불량함을 이유로 한 해고 노무법인 이인 2024-01-24
24 연장근로의 산정단위 노무법인 이인 2024-01-03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