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장근로의 산정단위
근로기준법 제50조는 제1항에서 1주간의 근로시간을, 동조 제2항에서 1일의 근로시간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근로시간의 제한은 장시간근로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근로기준법 제50조는 기준근로시간을 정하면서도 동법 제53조 제1항에서 당사자간의 합의로 1주 12시간의 연장근로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종래에는 1일의 연장근로의 총합과 1주의 연장근로의 총합 중 그 총합이 큰 것을 기준으로 연장근로의 한도초과여부를 결정하였습니다. 그런데 최근 대법원은 연장근로는 1일단위의 연장근로의 합이 아니라 1주간 실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여 해당 판결을 소개합니다.
[참조판례 대법원 2023.12.07. 선고 2020도15393 판결]
구 근로기준법(2017.11.28. 법률 제1510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50조는 1주간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고(제1항), 1일의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제2항)고 규정하고, 제53조제1항은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주간 12시간을 한도로 제50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구 근로기준법 제53조제1항은 연장근로시간의 한도를 1주간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을 뿐이고 1일을 기준으로 삼고 있지 아니하므로, 1주간의 연장근로가 12시간을 초과하였는지는 근로시간이 1일 8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1주간의 근로시간 중 40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 구 근로기준법 제53조제1항은 1주 단위로 12시간의 연장근로 한도를 설정하고 있으므로 여기서 말하는 연장근로란 같은 법 제50조제1항의 ‘1주간’의 기준근로시간을 초과하는 근로를 의미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구 근로기준법 제53조제1항이 ‘제50조의 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고 규정하여 제50조제2항의 근로시간을 규율 대상에 포함한 것은 당사자 간에 합의하면 1일 8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가 가능하다는 의미이지, 1일 연장근로의 한도까지 별도로 규제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나) 구 근로기준법은 ‘1주간 12시간’을 1주간의 연장근로시간을 제한하는 기준으로 삼는 규정을 탄력적 근로시간제나 선택적 근로시간제 등에서 두고 있으나(제53조제2항, 제51조, 제52조), 1일 8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시간의 1주간 합계에 관하여 정하고 있는 규정은 없다.
다) 1일 8시간을 초과하거나 1주간 40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에 대해서는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가산한 임금을 지급하도록 정하고 있는데(구 근로기준법 제56조), 연장근로에 대하여 가산임금을 지급하도록 한 규정은 사용자에게 금전적 부담을 가함으로써 연장근로를 억제하는 한편, 연장근로는 근로자에게 더 큰 피로와 긴장을 주고 근로자가 누릴 수 있는 생활상의 자유시간을 제한하므로 이에 상응하는 금전적 보상을 해 주려는 데에 그 취지가 있는 것으로서(대법원 2013.12.18. 선고 2012다89399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연장근로 그 자체를 금지하기 위한 목적의 규정은 아니다. 이와 달리 구 근로기준법 제53조제1항은 당사자가 합의하더라도 원칙적으로 1주간 12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를 하게 할 수 없고, 이를 위반한 자를 형사처벌(제110조제1호)하는 등 1주간 12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 그 자체를 금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가산임금 지급 대상이 되는 연장근로와 1주간 12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의 판단 기준이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번 판결에서 대법원은 연장근로에 대한 가산임금의 지급대상이 되는 연장근로는 종전과 같은 기준으로 산정하면서도, 1주 연장근로한도를 초과하였는지에 대한 형사판결에서는 1일단위가 아닌 1주의 실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33 |
![]() |
노무법인 이인 | 2024-05-23 |
32 |
![]() |
노무법인 이인 | 2024-04-30 |
31 |
![]() |
노무법인 이인 | 2024-04-29 |
30 |
![]() |
노무법인 이인 | 2024-04-26 |
29 |
![]() |
노무법인 이인 | 2024-04-25 |
28 |
![]() |
노무법인 이인 | 2024-04-02 |
27 |
![]() |
노무법인 이인 | 2024-03-21 |
26 |
![]() |
노무법인 이인 | 2024-03-15 |
25 |
![]() |
노무법인 이인 | 2024-01-24 |
24 |
![]() |
노무법인 이인 | 2024-01-03 |